메디패스 앱은 걸으면서 돈 벌 수 있는 앱테크 수단입니다. 단순한 현금 포인트가 아니라 가상 화폐 거래소에 상장된 메디블록(MED) 코인으로 출금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죠.
그러나 2023년 12월부로는 앱테크 수단이’었’던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메디패스의 코인워크 서비스가 종료되었기 때문인데요. 그 덕분에 원래는 200MED 이상만 출금이 가능했으나, 2MED만 있어도 출금이 가능하도록 정책이 변경되었습니다.
지금부터 메디패스 출금 방법을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가상 화폐 거래가 처음이신 분들도 어렵지 않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단계별로 이미지를 캡처했습니다.
메디패스란?
먼저 메디패스에 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메디패스는 2019년에 출시된 앱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개인의 건강 정보를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메디컬(medical)과 여권(passport)의 합성어인데요. 어디든 갈 수 있는 여권처럼, 의료 정보를 어디로든지 전송하는 서비스를 지향한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메디블록 코인
메디블록은 2017년 11월에 처음 발행된 가상 화폐입니다. 2023년 12월 1일을 기준으로 현재 시세는 약 13원인데요. 최고가일 때는 현재가의 30배 정도인 약 398원이었습니다.
이처럼 가상 화폐는 시세가 오르기를 기다렸다가 현금화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물론 떨어지면 안타깝지만, 앱테크 혜택으로 받은 것이니 손해볼 것도 없죠.
메디패스 출금 방법
그럼 지금부터 메디패스 코인워크로 획득한 메디블록(MED) 코인을 출금하는 방법을 이미지와 함께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메디패스 앱에 접속해주세요. 아래와 같은 알림창이 보이실 겁니다. [출금하러 가기]를 눌러주세요.

2. 보유한 MED 코인을 볼 수 있는 페이지로 넘어왔습니다. [출금] 버튼을 누르고, 6자리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3. 출금할 MED 코인 수량을 확인한 다음, [확인]을 눌러주세요. 출금 수수료는 1MED입니다. 최소 2MED부터 출금이 가능한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4. 지갑 주소를 등록할 차례입니다. [새로운 주소입력]을 누르고, 출금할 거래소를 선택합니다. 이용 중인 가상 화폐 거래소를 골라주시면 되는데요. 만약 가상 화폐 거래소 계정이 없다면, 가상 화폐 계좌를 하나 개설해주셔야 합니다. 저는 사용성 면에서 업비트를 가장 추천합니다.

5. 이제 가상 화폐 거래소 앱으로 넘어오겠습니다. 제가 사용 중인 업비트 앱을 기준으로 설명드릴테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업비트 앱의 [입출금] 탭에서 메디블록 코인을 찾습니다. 메디블록 코인을 누르고, [입금하기]를 눌러줍니다.

6. MED 입금 주소를 발급하기 위해 중앙의 +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그럼 QR코드와 함께 지갑주소와 입금메모가 발급됩니다.

7. 다시 메디패스 앱으로 넘어와서 발급받은 MED 입금 주소를 입력해 주겠습니다. 업비트의 [입금주소]를 [지갑주소]란에 입력하고, 업비트의 [MEMO]를 [입금메모]란에 입력합니다. [확인]을 눌러주세요. MED 입금 주소는 잘못 쓰시면 출금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꼭 복사 – 붙여넣기하시길 바랍니다.

8. 지갑주소의 이름을 지정한 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지갑주소는 아무렇게나 지정하셔도 됩니다. 방금 추가한 지갑 주소를 선택하고, [이대로 출금]을 눌러주세요.

9. 출금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확인]을 눌러주세요. 곧바로 메디패스 앱에서 출금 완료 알림이, 업비트 앱에서 입금 완료 알림이 옵니다.

마치며
메디패스 앱에서 메디블록(MED) 코인을 출금할 수 있는 기간은 2024년 2월 29일까지입니다. 메디패스 앱으로 한 번이라도 앱테크를 실천한 적이 있으신 분들은 위 방법을 따라서 출금 신청을 진행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교통비 절약! 기후동행카드 A to Z (정기권, 알뜰교통카드, K-패스 비교)
▶︎ 환전수수료 없이 트래블월렛 환테크하기 (달러, 유로, 엔화)
▶︎ 저축은행 파킹통장 추천 5 (연이율 3%+, 예금자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