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마 사운드업에서 밀리의 서재 앱 사용하는 4가지 방법 (2024년)

몇 년 전에 전자책을 읽으려고 크레마 사운드업을 샀습니다. 크레마 사운드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버전으로, 물리키를 누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서 구매했습니다.

크레마는 예스24(Yes24)에서 출시한 이북 리더기인지라, 줄곧 예스24 크레마클럽(전 예스24 북클럽)만 구독해 왔는데요. 그런데 얼마 전부터는 KT 제휴 구독으로 밀리의 서재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저처럼 크레마 단말기와 밀리의 서재 조합으로 이용하실 분들을 위해, 크레마 사운드업에 밀리의 서재 전자책 뷰어 앱을 다운로드하는 4가지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TIP) 이 방법은 크레마 사운드업뿐만 아니라 타 크레마 전자책 단말기에서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밀리의 서재 E-ink 뷰어 다운로드하기

밀리의 서재를 전자책 단말기에서 이용하려면 E-ink 뷰어 앱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E-ink 뷰어 앱은 밀리의 서재 홈페이지 맨 하단의 [뷰어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밀리의 서재 홈페이지 하단의 뷰어 다운로드를 표시한 캡처 화면과 E-ink기기 전용 APK버튼을 가리킨 캡처 화면

크레마에 밀리의 서재 앱 넣기

이제 크레마 단말기에 다운로드 받은 밀리의 서재 앱을 옮겨 보겠습니다. 이때, 밀리의 서재 앱을 크레마 단말기로 옮길 수 있는 방법이 총 4가지입니다. 각 방법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센드 애니웨어(센드 투 크레마)로 옮기기

첫 번째 방법은 크레마 단말기에 내장된 기능인 센드 투 크레마(Send to 크레마)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센드 투 크레마는 센드 애니웨어(Send Anywhere)를 통해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입니다.

먼저 센드 애니웨어의 보내기 창에 밀리의 서재 앱을 첨부합니다. [보내기]를 누르면, 전송 대기 중 창에 생성된 키(Key)가 노출됩니다.

sendanywhere 홈페이지에서 차례대로 보내기 +, 파일 추가, 6자리 숫자키 화면을 캡처한 이미지

이제 이 키를 크레마 단말기에 입력해 보겠습니다. 크레마 단말기에서 [Send to 크레마]를 터치하고, 하단 탭에서 [받기]를 선택해주세요.

Send to 크레마와 받기에 파란색 테두리의 네모가 표시되어 있는 사진

[키 또는 링크를 입력하세요] 하단의 텍스트 영역을 터치하고, 숫자 키를 입력합니다. [완료]를 누르면 파일 전송이 시작됩니다.

키 입력에 파란색 테두리의 네모가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

2. 인터넷 앱으로 다운로드하기

두 번째 방법은 크레마 단말기에서 직접 밀리의 서재 앱을 다운로드하는 것입니다. 단, 이북 리더기는 로딩 속도가 많이 느리므로 조금 답답할 수 있습니다.

크레마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터치하고, 주소창에 밀리의 서재(millie.co.kr)를 입력해주세요. 구글 검색창에 ‘밀리의 서재’를 입력해서 들어갈 수도 있지만, 속도가 느린 만큼 바로 접속하는 것이 더 빠릅니다.

접속한 다음에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밀리의 서재 홈페이지 맨 하단의 [뷰어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E-ink 앱을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3. Micro SD 카드로 옮기기

크레마 단말기에는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PDF 문서, ePUB 문서 등 파일 형태의 전자책을 읽기 쉽게 하기 위한 건데요. 이 슬롯을 이용해서 밀리의 서재 앱을 크레마 단말기로 옮길 수도 있습니다.

크레마 기기 하단에 sd카드 삽입부를 표시한 사진

마이크로 SD 카드에 밀리의 서재 앱을 옮긴 다음, 사진에 표시된 슬롯에 끼워 넣으면 됩니다. 마이크로 SD 카드는 인터넷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SD 카드 구매하기

4. 컴퓨터와 크레마 단말기 연결하기

마지막 방법은 컴퓨터와 크레마 단말기를 직접 연결해 밀리의 서재 앱을 옮기는 것입니다. 저는 이 방법을 가장 추천합니다. 성질 급한 한국인에게 제일 적합한 속도입니다.

윈도우(Windows) 기반 컴퓨터를 쓰고 계신다면, 크레마 단말기와 컴퓨터를 바로 연결하시면 되는데요. 저는 맥북을 이용하고 있어서 추가 프로그램을 하나 설치해야 했습니다. 크레마 단말기는 안드로이드 기반 기기라서 맥과 아예 연결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저처럼 iOS 기반의 맥(Mac)을 쓰신다면, 아래 방법을 따라해주세요.

우선, Android 파일 전송(Android File Transfer) 프로그램을 내려 받아 주세요. 아래 버튼을 누르시면 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파일 전송 프로그램

[Download Now]를 눌러 다운로드 받으면 폴더에 .dmg 파일이 생성되는데요. .dmg 파일을 드래그해 [Applications]로 옮겨주세요.

Android File Transfer 홈페이지에서 Download now를 표시한 캡처화면과 해당 파일을 설치하는 캡처화면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크레마 단말기를 컴퓨터와 연결해 파일을 옮길 수 있습니다.

크레마 기기에 선을 연결한 이미지

Android 파일 전송 프로그램을 이용해 밀리의 서재 앱을 [Download] 폴더에 넣어주세요.

맥북 화면에 download 폴더를 표시한 캡처 이미지

크레마에 밀리의 서재 앱 설치하기

크레마 단말기에 밀리의 서재 앱을 옮겼다면, 이제 앱을 설치할 준비가 끝났습니다.

크레마 홈 화면에서 플러스(+)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크레마 단말기에 옮긴 [밀리의서재 E ink] 앱이 보이실 겁니다. 한 번 터치해주세요.

크레마 홈화면에 +기호를 표시한 사진과 밀리의서재 E-ink가 표시되어 있는 사진

[설치]를 눌러 크레마 단말기에 밀리의 서재 앱을 설치하겠습니다.

밀리의 서재 뷰어 설치 버튼을 표시한 이미지

밀리의 서재 E-ink 계정 연결하기

밀리의 서재 앱을 전자책에서 이용하려면 E-ink 뷰어 계정을 생성해야 합니다. 밀리의 서재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아니라 E-ink 뷰어 계정을 별도로 만들어주셔야 하는데요.

밀리의 서재가 제공하는 공식 가이드북과 현재 앱 UX/UI가 조금 다릅니다. 2024년 2월 기준으로, E-ink 뷰어 계정은 [밀리의 서재 모바일 앱] > [관리] > [내 정보 관리] > [E-ink 뷰어 계정 등록]에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

내 정보 관리과 E-ink 뷰어 계정 등록에 파란색 테두리의 네모를 표시한 캡처 화면

이제 크레마 단말기를 켜고, 설치한 밀리의 서재 앱을 열어주세요. 그럼 아이디/비밀번호 입력 창이 뜨는데요. 이때, 새로 생성한 E-ink 뷰어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밀리의 서재 뷰어 설치 완료된 이미지와 밀리의 서재 로그인창이 보이는 이미지

마치며

무사히 설치를 완료하셨나요? 예스24 크레마클럽에도 엄청나게 많은 책이 있었지만, 밀리의 서재에는 또 다른 종류의 책들이 많으니, 이 방법으로 편하게 독서하시기 바랍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2024 텍스트 음성 변환 TTS 크롬 확장 프로그램 추천 5가지
▶︎ 아이폰 배터리 수명 오래 유지하는 9가지 방법
▶︎ 샤오미 대용량 보조배터리 20000mAh 6년 실사용 후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