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 ETF 종목 추천! 금현물 & 금선물 특징, 수익률 상세 정리

최근 금 투자에 관심을 보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전에 소개해드렸던 초보를 위한 금 투자 방법 5가지에서 간단히 말씀드렸지만, 금이 대표적인 안전자산 중 하나로 여겨지기 때문인데요. 금 가격은 대체로 우상향을 그리는 자산으로, 웬만하면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투자 성향을 갖고 계신 분들께 많이 추천하는 투자방법이기도 하죠.

그중에서도 금 ETF는 편리하게 금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금값이 오르는 요즘, 금 투자를 시작해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대표적인 금 ETF 5가지의 특징, 수익률, 투자 시기를 총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 가격 특징

먼저 금 가격은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금 가격은 달러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달러가 올라가면 금 가격은 내려가고, 달러가 내려가면 금 가격은 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달러 가치가 하락하는 글로벌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금에 사들이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인 위기가 도래했던 2020년에 국제 금값이 폭등하기도 했죠.

이렇게 금 가격의 특징을 알고 있으면 금 투자를 할 때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TIP) 그러나 최근(2024년)에는 달러 가치와 금 가격이 모두 상승하는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일인데요. 이렇듯 투자는 아무리 안정적이라고 하더라도, 언제나 기저에는 변동성이 깔려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금 ETF 특징

본격적으로 금 ETF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금 ETF는 금의 상품 자산을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증권사의 주식 계좌가 있으면, 주식을 사고팔 듯이 1주 단위로 매매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TF는 주식보다 더 안정적인 투자 상품으로 꼽힙니다.

금 ETF의 특징은 크게 2가지입니다.

1. 배당 소득이 없다.

ETF 중에는 투자한 금액에 따라 배당금을 지급하는 상품이 많은데요. 금 ETF는 일반적으로 배당 소득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라고 쓴 이유는 아래에서 소개할 상품 중 특이하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상품이 있기 때문인데요. 국내 금 ETF는 거의 배당금이 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2. 배당소득세가 있다.

금 ETF로 수익이 발생하면, 매매차익에 대한 소득세를 내야 하는데요. 국내 상장 금 ETF를 통해 얻은 수익은 매도 시에 자동으로 15.4%의 배당소득세를 공제합니다.

또한, 국내 상장 금 ETF의 매매차익은 금융소득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1년 동안 얻은 금융 소득이 연 2,000만 원 이상이라면, 종합소득에 금융 소득이 합해져서 과세됩니다.

(TIP) 해외 상장 금 ETF를 통해 얻은 수익에 대해서는 22%의 양도소득세를 지불해야 합니다. 단, 국내 상장 금 ETF와 달리 매매차익으로 얻은 소득이 연 250만 원을 초과했을 경우에만 지불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금 ETF로 1,000만 원의 매매차익을 얻었다면, 250만 원을 제외한 750만 원의 22%인 165만 원을 양도소득세로 냅니다.

국내 상장 금 ETF

이 글에서 소개해드릴 국내 상장 금 ETF의 종류는 6가지입니다.

5가지 상품 중 KRX 금현물 ETF 상품을 제외하고는 모두 금선물 ETF 상품인데요. 현물 ETF실제 자산의 가치를 추종하는 거라면, 선물 ETF해당 자산의 미래 가치를 추종하는 것입니다.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일을 예견하여 투자하는 것이니, 상대적으로 더 위험률이 높을 수밖에 없겠죠.

이 점 참고하시고 아래 내용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ACE KRX 금현물 ETF

ACE KRX 금현물 ETF의 수익률 그래프를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이 상품은 한국투자신탁운용이 판매하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금 현물 ETF입니다. 금 현물(1Kg)의 가치를 기초 자산으로 추종하는 ETF라는 뜻입니다. 올해 원자재 ETF(금 ETF, 구리 ETF…) 중 개인 순매수액 1위를 차지한 ETF입니다. 엄청나죠.

  • 상장일: 2021년 12월 15일
  • 기초지수: KRX 금현물지수
  • 실부담비용율: 연 0.7506%
  • AUM: 2,038억 원
  • 주가: 14,560원(2024년 5월 기준)
  • 1년 수익율: 17.28%(2024년 5월 기준)

상장일은 2021년으로 상장한지 3년을 향해 가는 ETF 상품이네요. 자산운용사에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는 연 0.8% 정도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닙니다.

AUM은 ‘Asset Under Management’의 약자로, 해당 ETF로 운용되는 총 자산 규모를 말하는데요. AUM이 높을수록 무조건 좋다고 볼 수는 없지만, AUM이 높으면 ETF의 운용능력을 신뢰하는 투자자가 많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상품도 2천 억 이상의 꽤 높은 AUM을 갖고 있습니다.

그 밖의 KRX 금현물 ETF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환노출형 상품이라는 점입니다. 환율에 따라 가격이 변동되는 상품이라는 건데요. 그렇기에 달러 환율이 오르면 펀드 수익률도 그만큼 올라가고, 환율이 떨어지면 펀드 수익률도 그만큼 떨어집니다. KRX 금현물 지수는 국제 금 시세에 원화 가치를 반영하는 지수이므로, 환율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밖에 없죠.

현재는 환율도 높고 금 가격도 높아서 약 17%라는 어마어마한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 이례적인 상황이며, 보통은 달러 가치와 금 가격이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성이 있다는 걸 인지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KODEX 골드선물(H)

KODEX 골드선물(H) ETF의 수익률 그래프를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이 상품은 삼성자산운용이 판매하는 금 선물 ETF로, 국내에서 거래량이 많은 금 선물 ETF 중 하나입니다. S&P GSCI Gold Index ER를 기초지수로 따릅니다.

  • 상장일: 2010년 10월 1일
  • 기초자산: S&P GSCI Gold Index(TR)
  • 실부담비용율: 연 0.8029%
  • AUM: 1,609억 원
  • 주가: 15,035원(2024년 5월 22일 기준)
  • 1년 수익율: 17.32%(2024년 5월 22일 기준)

상품명 우측에 (H)가 붙어있는 것이 보이시나요? 이렇게 (H)가 붙어있으면, 환헤지형 상품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KRX 금현물 ETF는 환율과 연동되는 환노출형 상품이었는데요. 환헤지형 상품은 환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직 금 시세만을 추종하는 ETF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환노출형 상품은 금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환율이 떨어지면 큰 이익을 얻을 수 없죠. 하지만 환헤지형 상품은 그런 우려 없이 금 가격 상승의 호재를 온전히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금 선물은 모두 환헤지형 상품이니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TIGER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 ETF의 수익률 그래프를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이 상품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판매하는 금 선물 ETF입니다. 국내에서 거래량이 많은 또 하나의 금 선물 ETF 상품입니다.

  • 상장일: 2019년 4월 9일
  • 기초지수: S&P GSCI Gold Index(TR)
  • 실부담비용율: 연 0.4771%
  • AUM: 418억 원
  • 주가: 16,070원(2024년 5월 22일 기준)
  • 1년 수익율: 17.29%(2024년 5월 22일 기준)

TIGE 골드선물(H)는 S&P GSCI Gold Index(TR)를 기초지수로 하는데요. 앞선 두 상품보다 AUM 규모는 작지만, 대신 실부담비용율도 높지 않은 상품입니다. 그러나 9.21%의 꽤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KODEX 골드선물인버스(H)

KODEX 골드선물인버스(H) ETF의 수익률 그래프를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이 판매하는 이 상품은 인버스 ETF입니다. 인버스는 추종하는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상품입니다. 지수가 하락세를 보일 때, 오히려 수익을 얻는 식입니다.

  • 상장일: 2017년 11월 9일
  • 기초지수: S&P GSCI Gold Index ER
  • 실부담비용율: 연 0.5980%
  • AUM: 51억 원
  • 주가: 5,955원(2024년 5월 22일 기준)
  • 1년 수익율: -9.77%(2024년 5월 22일 기준)

현재 KODEX 골드선물(H) 상품이 플러스 수익률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 이 상품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이네요. 하지만 지금과 정반대 상황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을 양지하시길 바랍니다.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ETF의 수익률 그래프를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판매하는 이 상품은 레버리지 ETF입니다. 레버리지는 변동 폭의 2배를 추종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한 마디로 수익도 2배, 손실도 2배라는 것이죠.

  • 상장일: 2015년 7월 28일
  • 기초지수: S&P GSCI Gold Excess Return Index
  • 실부담비용율: 연 0.7533%
  • AUM: 102억 원
  • 주가: 22,330원(2024년 5월 22일 기준)
  • 1년 수익율: 28.49%(2024년 5월 22일 기준)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의 수익률 그래프를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마지막으로 엔에이치아문디자산운용이 판매하는 금 ETF로, 가장 최근에 상장된 따끈따끈한 상품입니다. 이 ETF는 미국, 호주 등 글로벌 금 채굴 기업의 주가를 추종하는 지수에 투자합니다.

  • 상장일: 2024년 1월 18일
  • 기초지수: NYSE Arca Gold Miners Index
  • 실부담비용율: 연 0.6261%
  • AUM: 105억 원
  • 주가: 13,085원(2024년 5월 22일기준)
  • 1년 수익율: 8.53%(2024년 5월 22일 기준)

이 상품의 매력적인 점은 매 분기(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에 배당금을 준다는 겁니다. 금 가격이 오르면 관련 기업의 이익도 함께 오르고, 주가 상승과 함께 배당금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일석이조의 상품입니다.

마치며

정리해보면, 달러 환율이 높아지는 시기에는 환노출형 상품인 ACE KRX금현물 ETF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달러 환율이 낮아지는 시기에는 환헤지형 상품인 KODEX 골드선물(H)이나 TIGER 골드선물(H)이 유리하겠죠. 여기에 더불어 위에서 말씀드린 AUM과 실부담비용율, 그리고 배당소득세까지 꼼꼼하게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배당소득세가 부담스럽다면, 수수료가 적은 금 현물 통장 투자나 금방금방 앱을 통한 현물 거래에 도전해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투자 방법을 찾아 금 투자에 성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초보를 위한 금 투자 방법 5가지 (세금 및 수수료 정리)
▶︎ 환전수수료 없이 트래블월렛 환테크하기 (달러, 유로, 엔화)
▶︎ 지류 문화상품권 현금화 방법 4가지 수수료 비교 (컬쳐랜드 충전불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