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 AI 무조건 써야하는 이유 (챗GPT 공통점, 차이점 비교)

챗GPT(ChatGPT)를 애용하시나요? 그렇다면 이 생성형 AI를 무조건 쓰시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바로 마이크로소트프의 빙 AI(Bing AI)입니다. 빙 AI에는 챗GPT에는 없는 엄청난 장점들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챗GPT 빙 AI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빙 AI를 적극 추천하는 이유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빙 AI(Bing AI)란?

빙 AI는 2023년 2월에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 빙(Bing)에 내장하여 출시된 생성형 AI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빙 메인 화면입니다.

챗GPT VS 빙 AI

빙 AI는 챗GPT를 만든 오픈AI(OpenAI)의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하지만 같은 질문을 해도 챗GPT와 빙 AI는 서로 다른 답변을 내놓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원리, 사용법, 요금체계 등 다양한 비교점을 기준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인공지능 기술

챗GPT: 자사(OpenAI)의 GPT-3.5/GPT-4 모델
・ 빙 AI: 타사(OpenAI)의 GPT-4 모델

보시는 것처럼 챗GPT와 빙 AI는 모두 오픈AI의 GPT 기술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같은 GPT-4를 쓰는 챗GPT와 빙 AI조차 다른 답변을 내놓는 건 왜일까요? 그것은 빙 AI에 GPT 기술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만의 독자적인 인공지능 기술인 프로메테우스(Prometheus)가 적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챗GPT는 2021년 9월까지의 정보만을 데이터베이스로 정보를 출력합니다. 최신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챗GPT의 대표적인 한계점으로 꼽히죠.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를 결합한 빙 AI는 검색엔진의 최신 데이터까지 활용하여 정보를 출력합니다.

요금체계

챗GPT: 조건부 무료 (GPT-4 이용 시, 월 $20 결제)
・ 빙 AI: 모든 기능 무료

챗GPT는 GPT-3.5 모델만 무료로 제공합니다. 더 고도화된 GPT-4 모델을 사용하려면 무조건 GPT 플러스를 유료로 결제해야 하죠.

하지만 빙 AI는 기본적으로 GPT-4 모델을 적용했는데도, 무료, 무료, 완전 무료입니다. 유료로 사용해야 하는 챗GPT의 GPT-4 모델을 무료로 쓸 수 있다는 것이 빙 AI의 가장 강력한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소프트웨어

챗GPT: 독립된 웹 사이트에서 제공
・ 빙 AI: 검색엔진 빙(Bing)에서 제공

챗GPT는 독립된 웹 사이트(chat.openai.com)에서 이용합니다. 반면, 빙 AI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인 빙(bing.com)의 검색창에서 쓸 수 있습니다.

챗GPT는 개인 비서처럼 다양한 결과물을 제공해주는 인공지능 챗봇입니다. 편리한 이용을 위해선 별도의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빙 AI는 검색 지원 도구에 가깝습니다. 생성형 AI처럼 완결된 답변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핵심은 강력한 검색 경험을 제공하는 겁니다.

그래서 기존 검색엔진에 결합한 것이죠. 따라서 지금껏 챗GPT만 써오셨던 분들은 검색엔진에서 생성형 AI를 쓴다는 것이 조금 낯설게 느껴지실 수도 있습니다.

챗GPT에게 일요일에 뭘 하면 좋을지 묻는 모습입니다.
조금은 원론적인 답변을 내놓는 챗GPT
빙 AI에게 일요일에 뭘 하면 좋을지 묻는 장면입니다.
검색엔진 안에서 검색 경험을 향상하는 빙 AI

입출력 데이터

챗GPT: 텍스트만 입출력 가능
・ 빙 AI: 텍스트, 이미지로 입출력 가능

빙 AI의 또 다른 강력한 장점입니다. 챗GPT는 기본적으로 텍스트 기반 인공지능입니다. 질문도 텍스트, 답변도 텍스트로 받습니다.

그러나 빙 AI는 다릅니다. 질문에도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고, 검색 결과도 이미지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챗GPT에게 이미지 관련 질문을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답변에 한계를 느끼셨다면, 이 기능이 아주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생성 기능

챗GPT: 이미지 생성 사이트 멀티모달 AI 달리2(Dall-E 2) 이용(유료) 
・ 빙 AI: 이미지 생성 사이트 멀티모달 AI 달리(Dall-E) 이용(무료) 

챗GPT를 만든 오픈AI도 이미지 생성 기술을 제공하긴 합니다. 자사의 대규모 언어 모델 GPT-3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모달 AI 달리2라는 사이트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달리2는 달리1보다 해상도와 이미지 출력 속도가 탁월합니다. 그러나 이미지 생성을 요청할 때마다 115크레딧($15)을 지불해야 한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오픈A의 달리2가 유료 결제를 요청하는 모습입니다.

빙 AI는 달리(Dall-E)를 씁니다. 하지만 달리(Dall-E)을 쓴다고 해서 해상도가 낮거나 속도가 느리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 편입니다. 게다가 무료입니다.

빙 AI가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모습입니다.

플러그인

챗GPT: 플러그인 종류가 많음
・ 빙 AI: 플러그인 종류가 적음

챗GPT에서는 구글 시트나 문서와 연동해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프롬프트를 곧장 챗GPT의 모어인 영어로 번역해주는 프롬프트지니 등의 부가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빙 AI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각종 소프트웨어에 사용되는 것 외에는 특별한 플러그인이 없습니다. 플러그인 면에서는 빙 AI가 조금 아쉽습니다.

챗GPT 구글 시트/문서와 연동하는 법

챗GPT 한국어로 자동 번역하는 법

공유 여부

챗GPT: 타인에게 공유 가능
・ 빙 AI: 타인에게 공유 불가능

챗GPT는 공유 아이콘을 통해 타인에게 결과물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빙 AI 검색 결과는 스크린샷 캡처를 통해 공유할 수는 있겠으나, 별도의 공유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챗GPT의 공유하기 버튼 모습입니다.

마치며

챗GPT와 빙 AI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빙 AI를 써야만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겠네요.

  • 챗GPT의 GPT-4(텍스트 생성)와 달리2(이미지 생성)는 유료다.
  • 하지만 빙 AI에서는 둘 다 무료다.
  • 빙 AI에서는 최신 정보를 활용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올해 꾸준히 챗GPT와 빙 AI를 함께 사용하고 있는데요. 두 인공지능을 함께 사용하면서 상호보완적 시너지를 많이 얻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쓰면 쓸수록 빙 AI가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 사실 무료인데, 안 사용할 이유가 하나도 없죠. 여러분께서도 꼭 한 번 빙 AI의 세계를 경험해보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안고, 이번 글을 마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빙 AI(Bing AI) 사용법 완벽 총정리! (feat. MS 엣지)
▶︎ 챗GPT 구글 시트 및 구글 문서 연동 방법 (GPT for Sheets and Docs)
▶︎ 챗GPT 구글 시트 함수 종류/예시 (+ GPT for Sheets 기본 사용법)

Leave a Comment